티스토리 뷰
커피 추출기구 종류
커피 추출기구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많이 쓰이는 페이퍼 필드 드립(핸드 드립)에 대해 먼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과 필터에 잘게 분쇄된 원두를 넣어 뜨거운 물로 커피를 추출하게 됩니다. 드리퍼에 페이퍼 필터를 올리고 분쇄커피를 담아 드립용 주전자로 물을 부어 커피를 내리는 방법으로 흔히 집에서도 손쉽게 이용해 볼수 있는 방법입니다. 독일의 멜리타 벤츠 부인이 처음 필터 드립을 사용하였는데 1908년 멜리타 드리퍼의 개발은 페이퍼 필터 드립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다른 방식에 비교해서 커피의 맛과 향을 가장 그대로 표현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질은 여러가지로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는데 플라스틱 드리퍼는 가장 저렴하고 보편적이지만 열전도와 보온성이 좋지 않고 변형이 올수 있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도기 드리퍼는 도자기로 만들어져 열 보존성은 좋지만 무겁고 깨질 위험성이 있습니다. 유리 드리퍼는 강화유리로 만들어져 웨이브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하는데 파손의 위험성과 열 보존성이 떨어집니다. 동드리퍼는 가격이 비싸지만 열전도와 보존성에서는 가징 뛰어나지만 변색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 융드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융드립은 천의 섬유조직을 커피의 필터로 사용하는 것인데 보관과 관리에 어려움으로 페이퍼 필터 드립이 개발되었습니다. 융 드립으로 추출한 커피는 바디가 묵직하고 맛이 풍부하고 진하며 부드럽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용하고 난 후에는 끓는 물에 삶아서 찬물이 담긴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을 하는 불편함을 들수 있습니다. 콜드브루 또는 많이 알려진 더치커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콜드블루는 찬물로 3시간 이상 추출하여 커피의 향을 그대로 담아두는 기구입니다. 네덜란드의 상인이 배 위에서 오랫동안 보관해 두고 시원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더치커피는 찬물에 서서히 추출하기때문에 냉장 보관으로 1~3주정도 보관해 두고 마실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숙성시키면 맛이 더 좋다고도 알려집니다. 분쇄의 정도는 에스프레스보다 거칠고 핸드드립보다 고운 원두를 물이 한방울씩 떨어지게 하여 긴시간동안 추출하는데 추출된 커피의 특징으로 깔끔하고 다크 초콜릿 맛과 스모키한 향이 좋습니다. 이번에는 케멕스 커피메이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은 드리퍼와 서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으로 리브가 없어 공기통로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물 빠짐이 페이퍼 드립에 비해서 좋지 않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모카포트는 1933년 이탈리아 비알레띠가 발명한 것으로 가정에서도 쉽게 에스프레소를 즐길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구입니다. 원리는 중기압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불 위에 올려 추출하여 스토브 톱 에스프레소 메이커 라고도 불립니다. 중간 필터에는 분쇄된 원두를 넣고 하단 포트에 물을 넣어 결합한 후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수증기의 압력으로 물이 관을 통해 올라가 분쇄된 원두를 거쳐 커피가 추출되는데 상단의 포트에 추출된 원두가 모이게 됩니다. 에어로 프레스에 대해 알아보면 주사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것으로 신속한 추출과 휴대가 가능하다는 사실로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쇄된 커피를 체임버에 넣고 적정량의 물을 부어 줍니다. 10초정도 살짝 저은후 플린저를 체임버에 끼워 압력을 가하면 되는데 이때 체임버의 물을 밀어내며 커피가 추출됩니다. 추출된 커피는 깊고 풍부하고 깔끔한 맛으로 신속하고 손쉽게 추출되는 방식입니다. 터키식 커피는 이브릭과 체즈베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동이나 철로 만들어진 작은 용기에 가늘고 곱게 분쇄한 커피를 담아 물을 부은 후 불ㄹ위에 달여 추출하는 방식을 씁니다. 그리고 커피가루가 가라앉을때까지 기다렸다가 부어서 마시면 되는데 여과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커피입자가 미세하게 분쇄를 해야 하며 강렬한 커피의 맛을 즐길 수 있지만 필터여과의 과정을 거치지 안하 텁텁한 커피가루도 함께 마셔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프렌치 프레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려내기와 가압추출 방식이 혼합된 것으로 금속의 필터로 여과하는데 미세한 침전물까지 추출되어 텁텁한 맛이나 향미가 조금 떨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리로 된 용기와 플런저가 구성되어 있는데 비커안에 굵은 커피를 담아 뜨거운 물을 무어주고 3~4분 우려낸 후 플런저를 눌러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퍼컬레이터는 미국 서부 개척시대때부터 사용된 방식으로 추출액이 순환하여 원두를 계속 지나 추출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일정수준이상의 짙은 농도를 추출할 수 없지만 구수하고 부드럽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사이펀은 증기압과 진공흡입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을 쓰는데 진공식 추출기구로 배큠 브루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유리로 된 상부로트에 여과 필터를 장착하고 하부 플라스크에 물을 끓이는데 알콜 램프나 가스 스토브 등으로 열을 가해 추출합니다.
커피 추출 방식
대표적으로 침출식과 여과식을 들수 있는데 침출식은 분쇄된 커피가루를 추출 용기에 넣어 뜨거운 물이나 찬물을 넣어 가열하는 방식으로 프렌치 프레스와 터키식 커피 등에 침출식의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달임법과 우려내기 삼출법, 진공여과의 방법이 있습니다. 여과식은 분쇄된 커피가루가 담긴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추출하는 방식으로 깔끔한 커피가 추출되며 모카포트, 드립식 추출 등이 해당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입덧 완화음식
- 이유식방법
- 이유식초기
- 입덧주의점
- 이유식후기
- 자연분만종류
- 엽산복용시기
- 제왕절개
- 임산부 커피
- 산전검사
- 입덧 완화 시기
- 이유식시작시기
- 자연분만제왕절개장단점
- 엽산주의점
- 임신초기에좋은음식
- 임신초기주의사항
- 임산부초밥
- 이유식완료기
- 엽산음식
- 이유식중기
- 임신해서 주의해야 할 음식
- 자연분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