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임신 주차 계산 기준일
임신한 기간 동안에는 여러 가지의 요인들이 있지만 평균적으로 279일~282일 40주의 임신기간을 가지게 되는데 수정란이 착상한 날을 임신 시작일로 보고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임신 최초의 순간인 정자와 난자가 수정 또는 착상한 날을 처음 임신한 날로 보아야 하지만 그날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로부터 280일 되는 날을 출산 예정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생리를 시작하여 배란까지 14일 그리고 배란 날짜부터 그다음 생리 시작일까지 14일인 28일 주기일 때를 기준으로 하는 계산법입니다. 만약 이보다 생리 주기가 길어 35일인 사람이라면 여기서 7일을 더한 287일 후가 출산 예정일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보통 정상적인 임신이라도 예정일이 2주인 14일이 지나도록 진통이 없ㅇ 지연되는 출산이 임신의 10%가 됩니다.
출산 예정일 계산
출산 예정일 계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먼저 네겔식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것은 마지막 생리 달에서 3을 뺄 수 없을 때는 9를 더거나 3을 빼고, 마지막으로 생리를 시작한 날짜에는 7을 더해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이 1월 10일인 경우 예정일은 달에 +9를 하여 10월이 되고 10일에 +7을 하여 10월 17일이 출산 예정일이 되는 것입니다. 또는 9월 10일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인 경우 9월에서 -3을 하고 10일에 +7을 하면 6월 17일이 됩니다. 그다음으로 기초체온으로 하는 곡선 확인법이 있는데 잠들기 전 미리 체온계를 가까이 챙겨두었다가 3시간 이상의 숙면을 취하고 일어나서 바로 몸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체온을 재어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체온이 36.3~36.6°C의 저온 기를 유지하는데 배란 후 임신이 되면 출산까지 36.8~37°C의 고온기를 유지하게 됩니다. 저온 기와 고온기의 평균 체온의 차이는 0.55°C이므로 꾸준히 3~4개월간 측정해야 정확히 알 수 있어 기록을 해두어야 합니다. 기초체온을 재었을 때 저온이 나타난 기간의 마지막 날을 배란일로 보고 여기에서 266일 즉 38주를 더하여 출산예정일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하는 방법으로는 초음파와 자궁저의 높이를 재어 알아볼 수 있는데 보통 임신 5주가 지나서부터 초음파 검사를 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임신상태의 여부와 태아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만약 임산부가 생리 주기가 불규칙하고, 마지막의 생리 날짜를 정확히 모를 때 초기에는 태낭의 크기를 재어 확인하고 7주 이후가 되면 태아의 머리끝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재어 수정된 날짜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보통 걔월에 맞는 태아의 성장을 비교하여 출산 예정일을 예정해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임신하고 12주가 지나면 태아의 신체 일부분으로 볼 수 있어 머리 크기를 산출하여 예측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담당 의사마다 초음파 사진의 판독이 틀릴 수 있어 일주일 정도의 오차는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태아가 있는 자궁의 크기 즉 자궁저의 높이를 재어 게 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골반 앞쪽 아래에 있는 치골에서 자궁 가장 높은 곳 길이까지 재는 것으로 임신 20~31주의 대부분의 임산부 자궁저 높이는 임신 주수와 거이 일치하므로 임신 21주가 되면 자궁저 높이가 21cm이므로 이를 통해 태아의 발달상태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초음파 검사, 태동 상태, 자궁저 높이를 모두 종합하여 출산예정일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동을 느끼는 시기로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초산의 임산부는 19~20주 정도에 처음 태동을 느껴 그 날짜에서 20주 이후를 출산예정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사람마다 틀려 정확히 가능해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양한 방법의 출산 예정일을 계산해 보지만 80% 이상의 임산부는 예정일보다 일주일 빠르게 혹은 늦게 출산을 합니다. 보통의 초산부라면 예정일보다 늦게 출산하는 경우가 많고 경산부는 예정일보다 조금 빨리 낳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출산예정일을 계산해 보는 것은 태아의 성장을 체크해 보고 임산부가 그 단계에 잘 맛게 생활을 하도록 돕는 데에 있습니다. 임신기간 총 40주를 기준으로 하여 37주에서 42주인 5주 동안의 출산은 정상 출산으로 보고 있으므로 날짜에 지나치게 집착할 필요는 없지만 너무 지연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태아는 출산 직전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예정일이 지나면 태아의 태변이 많아져 자궁의 환경이 악화되므로 임신 후기에 이유 없이 임신 중독증 등의 증상이 나타 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신 중 임산부가 중증의 당뇨병이나 중독증, 조기진통 등의 증세로 위험할 경우라면 분만을 앞당기기도 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유식방법
- 임신초기주의사항
- 임산부 커피
- 이유식완료기
- 자연분만
- 엽산음식
- 입덧주의점
- 이유식시작시기
- 자연분만제왕절개장단점
- 입덧 완화 시기
- 입덧 완화음식
- 산전검사
- 이유식초기
- 이유식중기
- 임신해서 주의해야 할 음식
- 제왕절개
- 자연분만종류
- 임산부초밥
- 이유식후기
- 엽산복용시기
- 엽산주의점
- 임신초기에좋은음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